조선왕조실록-태조와 정도전의 방심/ 이방원의 준동/왕자의 난
세자 책봉 문제: 적장자도 아닌 계비의 둘째 아들 방석에게 세자 자리가 돌아간다. 이것이 훗날 화근이 된다. 정도전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기도 했다. 장자 계승제가 조선에서는 익숙하지 않았고, 계비의 영향도 컸다. 이방원 입장에서는 방석이 세자가 되었기 때문에 기회가 될 거라 생각했다.
만일 맏이가 세자가 됐다면 체념했겠지만 방석이 세자가 된다면 누구에게나 그 자리는 열려있다는 암시가 내포되어있기 때문이다. 이성계의 정도전에 대한 신임이 이방원에게는 큰 도전이었다.
이방원의 반란: 이성계와 정도전의 긴장이 느슨해진 틈을 타 반란을 감행한다. 정적 이방원은 정몽주 살해에서 보여준 것처럼 명분에 얽매이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망각한 것이다. 사실 이방원은 방석이 세자가 된 순간부터 왕위에 대한 야심을 키운 사람이었다.
하륜의 등장: 태종의 대표적인 참모이다. 태조의 정도전과 비견될만하다. 정도전은 이상을 추구하는 사람이었다면, 하륜은 시종일관 자신의 권력을 지향한 사람이다.
뻔한 시나리오:이방원은 둘째 형을 왕으로 옹립한다. 쿠데타의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 사실이 오히려 이방원의 철저한 계획을 반증한다. 만일 엉겁결에 발생한 쿠데타였다면 이방원이 직접 왕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권력을 잠시 대리인을 통해 행사하는 것이다. 정종은 아들이 없었고, 무인 출신으로 순박한 성격이었다. 허수아비 역할로는 제격이었다. 정종은 동생 이방원을 아들로 삼아 세자 책봉하는 기괴한 일을 버린다. 세제로 해야 마땅하지만 이 때에는 세제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다. 개경으로 잠시 수도가 옮겨 졌기 때문에 2차 왕자의 난은 개경에서 시가전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