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금융 상식

자동차 구매 방식의 진화- 장기 렌트, 유예 리스, 금융 리스, 운용 리스의 차이점.

 예전엔 자동차를 사려면 현금을 주고 사거나, 할부로 사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요즘은 새로운 결제 방식이 생겨나게 된다.  장기 렌트, 유예 리스 등이 대표적이다.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어떤 형태의 돈을 낼 수 있는지를 꼼꼼히 알아 보아야 한다.  월급쟁이 같은 경우는 현금으로 주고 사는 것이 가장 싸다.   법인이나 자영업자 들은 세금을 많이 내기 때문에 렌트카 프로그램이나 리스를 활용하는 것이 쌀 수 있다. 

 


사업하지 않는 일반인들도 리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서 사는 것보다 편리하고 저렴하다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꼼꼼히 보면 많게는 은행 보다 두 배 이상의 이자를 내게 돼있다.   법적으로는 자유롭게 차를 선택하도록 돼있지만 사려고하다 보면 선택의 제약이 많아서 실제로는 저렴하게 사는 경우가 전혀 아닌 경우가 있다.

 

리스란 일단 빌려서 타다가 몇 년 후에 차를 반납하거나 차 값을 치르는 것을 말한다.  나중에 계산기를 두드려 보면 실제 차 값 보다 많이 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리스 프로그램 이자율이 4%정도라고 주장하지만 원금이 줄어 들지 않고 처음 원금을 기준으로 계속 이자를 내는 것이기 때문에 손해가 크다.   

 


유예 리스란 차 값의 60%정도를 만기 3년 뒤에 일시불로 내는 형태이다.  차 값의 절반 이상을 유예 했기 때문에 나머지는 거의 큰 돈이 들지 않는다.  게다가 30%정도는 초기에 선납금으로 낸다.  결국 남는 것은 차 값의 10%인데, 10% 3년간 나눠서 내기 때문에 돈이 많이 들지 않는 것처럼 느껴진다.   차를 반납 하는 경우는 개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일반인은 중고차로 팔아서 그 돈을 메우거나 60%에 해당하는 돈을 내고 인수를 하는 방법을 쓴다.

꼼꼼히 보면 손해를 볼 수 있다.

 





렌트나 리스가 유리한 입장인 사람: 리스는 크게 두 가지 금융리스 운용 리스가 있는데, 금융 리스란 자동차를 구매자의 자산으로 잡아주고 차 담보 대출을 해주는 것이다.  운용 리스 같은 경우는 자동차를 자산으로 잡아주지 않고 리스에서 자산으로 잡힌 다음에 이 차를 빌려주는 형태이다.  렌트 카는 완전히 리스 회사의 재산이 되고 차를 빌려주고 고장이나 수리 비용을 모두 다 회사가 책임 져 주는 방식이다.  관리를 아주 하기 싫은 사람은 렌트 카를 이용하는 것이 좋고,  자신의 차로 관리 하고 싶은 사람은 리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